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표백 1. 책 제목: 표백 2. 지은이(저자): 장강명 3. 읽은 기간: 2017년 9월 7일 ~ 2017년 9월 28일 4. 책의 주제와 내용: 소설가 장강명의 첫 작품인 표백은 힘든 삶을 살아가는 지금의 청년들이 자살로써 자신의 뜻을 펼치겠다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내용이다. 기자 출신의 작가가 쓴 소설이라 군더더기 없이 깔끔한 전개가 이어지고 묘사와 배경 설명이 사실적이다. ‘나’ 중심의 1인칭 소설이지만 가장 비중있게 등장하는 인물은 A대학교 경영학과 학생인 세연이다. 세연은 지금의 청년 세대가 ‘시대를 잘못 만난 세대’라며 사회가 어떠한 보상책을 마련해야 하는데 그러지 않아 문제라고 말한다. 이러한 청년 세대를 이해하지 못하는 기성세대들에게 어떠한 메시지와 충격을 전해 주기 위해서 계획한 것이 자살 카.. 더보기 저, 죄송한데요 1. 책 제목: 저, 죄송한데요 2. 지은이(저자): 이기준 3. 읽은 기간: 2017년 8월 2일 ~ 2017년 9월 10일 4. 책의 주제와 내용: 일상 속에서 느끼는 소소한 감정들을 잘 풀어낸 산문집이다. 다소 비뚤어진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볼 때 다가오는 불편함과 이해하기 힘든 요소들을 재미있게 풀어 나간다. 5. 나의 생각, 느낀점: 그래픽 디자이너가 직업이라는 저자는 그의 특출난 창의력과 상상력 때문인지 우리 사회에서 살아가는 데에는 여러 가지 거슬리는 것들이 많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그리고 ‘이 사람 너무 불편하게 생각하는 게 아닌가?’싶은 생각이 들 정도로 예민하고 섬세한 사람인 것 같다. 병원에 건강검진을 받으러 가서 ‘일주일에 술은 몇 번 정도 마시냐’는 의사의 질문에 ‘일 주 내내 마.. 더보기 #1 나더러 왜 조국을 사랑하지 않느냐고 하던데, 조국도 나를 사랑하지 않았거든. 솔직히 나라는 존재에 무관심했잖아? 나라가 나를 먹여 주고 입혀 주고 지켜 줬다고 하는데, 나도 법 지키고 교육받고 세금 내고 할 건 다 했어. 내 고국은 자기 자신을 사랑했지. 대한민국이라는 나라 그 자체를. 그래서 자기의 영광을 드러내 줄 구성원을 아꼈지. 김연아라든가, 삼성전자라든가. 그리고 못난 사람들한테는 주로 ‘나라 망신’이라는 딱지를 붙여 줬어. 내가 형편이 어려워서 사람 도리를 못하게 되면 나라가 나를 도와주는 게 아니라 내가 국가의 명예를 걱정해야 한다는 식이지. 내가 외국인을 미치고 허둥지둥 지하철 빈자리로 달려가면, 내가 왜 지하철에서 그렇게 절박하게 빈자리를 찾는지 그 이유를 이 나라가 궁금해할까? 아닐걸?.. 더보기 비오고 갠 뒤 더보기 한국이 싫어서 1. 책 제목: 한국이 싫어서 2. 지은이(저자): 장강명 3. 읽은 기간: 2017년 7월 21일 ~ 2017년 7월 24일 4. 책의 주제와 내용: 한국에서 20여년을 살다가 호주로 이민을 간 계나의 이야기가 내용이다. 계나는 이 소설의 제목처럼 ‘한국이 싫어서’ 호주로 유학을 간다. 처음에는 생각했던 것보다 더 힘든 적응과 현지인들의 차별 등의 이유로 힘들었던 계나, 그러나 시간이 갈수록 그 힘듦은 더 큰 힘듦으로 다가온다. 그러나 계나는 낯선 땅 호주에서, 취업 비자와 영주권을 거쳐 시민권을 취득하고, 한인 게스트하우스와 셰어하우스를 거쳐 자기 소유 아파트를 갖고, 어학원과 대학원을 마친 뒤 번듯한 회계사 직장까지 얻는다. 정말로 죽을힘을 다하고, 산전수전을 다 겪고, 밑바닥까지 떨어졌다가 다시 .. 더보기 우리의 소원은 전쟁 1. 책 제목: 우리의 소원은 전쟁 2. 지은이(저자): 장강명 3. 읽은 기간: 2017년 7월 20일 ~ 2017년 7월 28일 4. 책의 주제와 내용: 통일 이후 한반도의 이야기를 다룬다. 가까운 미래, 통일 전문가들이 가장 이상적이라 이야기하는 시나리오(미국이나 중국 등 강대국의 개입 없이 북한이 남한에 흡수통일되는 형태)로 한반도는 통일이 되었고, 남한 정부는 옛 북한 지역의 발전과 안정화를 위해 휴전선을 그대로 유지하며 ‘통일과도정부’를 세워 옛 북한 지역을 관리하기로 한다. 유엔에서는 치안과 병력 유지를 명목으로 세계 각국이 참여한 평화유지군을 주둔시키고, 북한의 인민보안부는 이름만 바꾼 채 유지해 실질적 치안 유지를 맡도록 한다. 실질적인 국민 통제나 통치 시스템이 마련되지 않은 북한 지역.. 더보기 82년생 김지영 1. 책 제목: 82년생 김지영 2. 지은이(저자): 조남주 3. 읽은 기간: 2017년 7월 19일 ~ 2017년 7월 21일 4. 책의 주제와 내용: 우리나라의 사회 속에서 은연중에 일어나는 여성 차별과 혐오 문제를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소설이다. 82년생 여자, 김지영이라는 흔한 이름, 그리고 집안이 부유하지도 가난하지도 않은 평범한,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상을 주인공으로 한 이 소설은, 오히려 그런 평범한 인물을 주인공으로 하였기에 작품에 몰입하고 공감할 수 있게 한 것 같다. 이 책은 액자 소설의 구성으로 진행된다. 2015년의 김지영 씨가, 지인들에 빙의되는 정신 이상 증세를 보이자 남편이 정신과에 데려가는데, 그 정신과 의사가 김지영 씨에게 들은 그녀의 인생 이야기를 보고서 형식으.. 더보기 잉여사회 1. 책 제목: 잉여사회 2. 지은이(저자): 최태섭 3. 읽은 기간: 2017년 7월 11일 ~ 2017년 7월 23일 4. 책의 주제와 내용: 현대 한국 사회에서 많이 부각되고 있는 ‘잉여’들의 존재를 설명하고 그들의 심리나 행동, 특징 등을 재미있게 풀어 나가고 있다. 이 책에서 ‘잉여’라는 단어는 크게 두 가지 의미로 쓰이는데, 첫 번째는 ‘사무직원이 되기 위해 새로 산 싸구려 정장을 차려 입고 아이폰과 자기소개서를 손에 든 젊은이들’을 대변하는 의미다. 우리의 역사에서 가장 부유하지만 동시에 빈곤한 세대다. 고성장 시대를 살며, 노력은 무조건 결과로 돌아온다는 공식을 몸소 느낀 부모 세대에 비해, 저성장과 과도 경쟁 시대를 살며 노력이 결과로 돌아오지 않을 수도 있다는 걸 몸으로 느끼는 사람들이.. 더보기 이전 1 ···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