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책 제목: 미래를 사는 도시, 선전
2. 지은이(저자): 조상래
3. 읽은 기간: 2018년 7월 23일 ~ 2018년 7월 23일
4. 책의 주제와 내용:
40여년 전에는 평범한 시골 어촌 마을이었지만 중국 정부의 집중 투자로 세계 제조업의 거점 중 하나가 되었고, 이제는 다양한 신기술 분야를 선도하는 도시가 된 선전에 대해 소개한다. 선전의 발전 이면에는 어떤 노력들이 있었는지, 실제로 어느 정도 수준으로 발전되어 있는지 등의 내용이 있다.
5. 나의 생각, 느낀점:
우리나라에서 중국에 대한 이미지는 아직도 좋지 못한 편이다. 더럽고 미개한 나라, 우리보다 많이 뒤쳐진 나라, 곤충들과 인육을 서슴없이 먹는 나라 등 후진국이라는 이미지가 우세한 편이다. 그러나 이 책을 읽으며 그렇지 않다는 점을 알았다. 중국은 선전을 포함한 주요 직할시와 홍콩, 마카오를 통해 기술 혁신과 선진화를 이루어 내려 하는 것 같다. 일부 분야에서는 더이상 우리가 깔보지 못하게 될 나라가 곧 중국이 아닐까 싶다.
선전 시의 롄화산에는 덩샤오핑의 동상이 있다. 덩샤오핑은 흑묘백묘론을 앞세우며 방법과 관계없이 경제성장을 최우선으로 여겼던 인물이었고, 선전 시는 그의 개혁개방 정책 아래 40여년 만에 어촌 마을에서 세계적 혁신 도시로 발전했다고 한다. 선전은 홍콩과 맞닿은 지리적 특색을 살려 수출 거점 도시로 계획되었고, 당시 가장 잘 발전하고 있던 분야인 첨단 전자 분야에 집중 투자되어 전자기판 제조업 관련 회사가 대량으로 들어서게 되었다. 이후 IT시장이 더욱 커지자 이른바 '대륙의 실수'라고 불리는 기업들과 제품들이 탄생하기 시작했고, 메이커 페어를 위시한 국제 전시나 행사를 다수 개최하는 도시로 발전하여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선전에는 규모가 용산 전자상가의 열 배 이상인 화창베이 전자상가가 있는데, 이 곳에는 수많은 '대륙의 실수'들이 전시되며, 항상 제품 배송을 위한 택배사 직원들로 복도가 꽉 찬다고 한다. '하드웨어의 실리콘밸리'라고 불리는 만큼, 특히 IT분야의 스타트업에 대한 국가와 시의 지원 정책도 남다르다. 청년 창업을 지원하는 YOU+ 청년 창업 단지는 선전 말고도 중국 전국에 21개가 설치되어 있는데, 45세 미만의 청년들에게 주거, 사무, 레저, 엔터테인먼트 요소를 창업에 연계시킬 수 있는 자원을 제공한다.
이 책을 읽고 나니 '왜 기존에 잘 나가던 우리나라의 산업들은 대부분 중국에 뒤쳐지거나 따라잡히고 있을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들은 기분이다. 중국의 14억 인구는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고, 우리나라의 것과는 규모가 다른 정부 정책과 지원사업들은 청년들의 도전을 더욱 부추기며, 실수와 사고를 되려 독려하는 기업 분위기 등은 계속되는 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 같다. 하루만에 다 읽을 만큼 짧은 책인데도 독서가 끝난 뒤 많은 생각을 하게 하고 중국에 대한 인식을 바꾸게 해준 책이다.
6. 인상적인 글귀: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류의 가장 위대한 모험 아폴로 8 (0) | 2019.01.05 |
---|---|
데이터 과학 무엇을 하는가? (0) | 2019.01.05 |
블록체인 무엇인가? (0) | 2019.01.05 |
리콴유의 눈으로 본 세계 (0) | 2019.01.05 |
미운 청년 새끼 : 망가진 나라의 청년 생존썰 (0) | 2018.01.28 |